크래프톤은 장/단기적 관점에서 기업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가치 성장을 위해 환경, 사회,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계획을 수립 및 실현하고, 재무적 위험 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위험을 관리함으로써 지속가능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.
Environment
항목 | 세부항목 | 수행 업무(Activity) |
---|---|---|
환경경영체계 | 환경정보 공개 |
•
환경정보공개시스템상 2021년 녹색경영전담조직, 용수 및 에너지 사용량, 폐기물발생량 등 공개
|
운영상의 환경영향 및 환경 효율성 | 에너지 절약 |
•
자원 절약 캠페인을 통해 지속적으로 구성원에게 에너지 절약 문화 고취
•
전원 자동 종료 설정 내역
–
엘리베이터 앞 대형 디스플레이: 22:00
–
회의실 에어컨(하절기): 1차 20:00, 전체 종료 23:50
•
조명
–
LED조명 사용(판교, 역삼: Dimming 기능 / 서초: On-Off만 가능)
–
회의실 조명: 센서등 적용하여 미사용시 자동 종료
|
자원 재활용 |
•
구성원 제공 용 종이 쇼핑백을 재활용지 쇼핑백 사용
•
A4용지 재활용지 사용
–
‘천연 펄프’ 대신 폐지를 원료로 한 ‘재생 펄프’를 원료로 사용하여 종이 생산 시, ‘목재의 채취 및 절단/가공 과정’이 제외됨에 따라 ‘제조 전 단계’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
|
|
탄소배출 저감 |
•
통근버스 운영
–
통근버스 사용률: ’23.03 기준 신청자 약 120명(10% 내외)
•
셔틀버스
–
거점(사옥)별: 역삼, 서초, 판교
–
역간: 강남역, 역삼역
•
업무용 승용차(법인차량) 미운영
|
|
자원절감 및 환경보호 |
•
구성원 캠페인
–
분기 1회 이상 포스트 업로드
–
자원절감 및 환경 보호 광고 또는 포스터 게시
•
네스프레소 커피 캡슐 별도 수거
–
네스프레소에서 운영하는 재활용 프로그램 참여
•
사내 카페에서 텀블러 사용 장려
–
사용시 쿠폰 제공
|
|
기후변화 위험 및 기회관리 | 온실가스 저감 |
•
게임서버 Cloud 서비스 사용
–
’23.04 기준 클라우드(A**, M**) 인스턴스 약 2만개 사용
•
게임서버 Cloud 서비스 사용으로 인한 자체 데이터센터 미운영
–
일부 사내정보시스템의 물리적 서버는 타사의 데이터센터를 임대 사용
–
온실가스 배출량 유의적이지 않음
|
Social
항목 | 세부항목 | 수행 업무(Activity) |
---|---|---|
산업 안전 보건 | 구성원 안전 보건 |
•
산업안전보건위원회(근로자위원, 사용자위원/ 분기단위 회의 진행) 운영
–
연간 공기질 측정(모든 거점 대상)
–
서초 오피스 입주 당시 베이크 아웃 실시
–
AED 심장제세동기 전사 교육
–
연간 화재 대피 훈련(22년 역삼, 판교 / 23년 서초까지 시행 예정)
–
도청, 감청, 불법 촬영 탐지(밀폐 공간, 회의실, 화장실 등)
–
판교 조명 교체(22년) 조도 조절 장치 설치
–
반기별 위험성 평가 활동(산업안전보건활동)
–
엘리베이터 문제 등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논의 안건에 대해 대응 중
–
22년부터 ISOS 해외 출장 종합 안전 관리 서비스 도입(출장 인원/주재원 모두 포함, 22년 출장 300건)
|
인적자본개발 | 구성원 건강증진 |
•
구성원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제도 운영
–
건강검진 지원
–
단체보험 가입 (구성원 및 가족 1인)
–
운동비 지원
|
구성원 일과 삶의 균형 |
•
크래프톤 어린이집 운영(역삼, 판교)
–
리틀포레(정원 180명)
•
인정휴가제도 운영
–
리프레쉬 휴가, 장기근속 휴가, 건강검진 휴가, 이사 휴가, 생일 휴가 등
•
휴가 자가승인제도 운영
–
연차소진율 94.3% (2022년 말 기준)
|
|
임산부 지원제도 |
•
임산부 지정석 주차 지원
•
수유시설 운영
•
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제공
|
|
구성원 가족케어 |
•
경조사 지원
–
결혼, 사망, 출생, 자녀 초등학교 입학 등 경조사 지원 및 폭넓은 경조휴가 지원
|
|
구성원 생활지원 |
•
주택자금대출 무이자 지원
•
주택자금대출 이자 지원
•
사회초년생 적응 지원
–
쉐어하우스 제공
|
|
공정 채용 |
•
차별금지 정책 제정
–
취업규칙 제4조, 제5조에 명시
|
|
구성원과의 대화 |
•
구성원과의 적극적인 Communication
–
매월 소통위원회(노사협의회)를 통한 구성원의 의견 청취
|
|
구성원 만족도 조사 |
•
구성원의 만족도 설문조사 실시
–
퇴사자(Culture Team): 퇴사자 대상으로 퇴직 시점에 과거 만족도 및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
–
입사자(L&V Team): 입사자 대상으로 입사 3개월 시점에 만족도 조사 실시
–
복리후생(Focus Team): 복리후생에 대한 만족도 조사 실시
|
|
구성원 교육 |
•
구성원 사외 교육 지원
–
연간 인당 200만원 한도 교육비 지원
▪
직무 교육
▪
외국어 교육
▪
자기 계발 교육
•
외부 교육기관과의 파트너십 운영
•
법정 의무 교육 실시
–
직장 내 성희롱 예방
–
개인 정보 보호
–
직장 내 괴롭힘 방지
–
장애인 인식 개선
|
|
리더십 교육 |
•
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
–
교육 체계
▪
신임 리더 교육
▪
2년차 이상 교육
▪
최상위 조직장 교육
|
|
우리사주제도 운영 |
•
KOSPI 상장사 필수 사항
|
|
구성원 성과평가 및 보상 |
•
개인 성과평가
–
연간 2회(중간평가, 기말평가) 평가 진행
–
상위조직장을 대상으로 다면 피드백 진행
•
전구성원 대상으로 주식보상 프로그램 운영
–
RSU
–
Stock options
–
ELI
|
|
인재 양성 |
•
산학협력
–
KAIST 정글
▪
‘21.4월부터 매년 연계 채용 진행
•
인턴십 프로그램
–
AI Fellowship: 국내/해외 우수대학 학사 대상 프로그램(6~8월)
–
AI Research Internship
▪
국내/해외 우수대학 석/박사 대상 프로그램(6~8월)
▪
2022년 인턴채용하여 성과 달성 목표로 연구 진행
–
수시 인턴십
▪
현업 요청에 따라 수시 공고 오픈 및 채용, 이후 필요시 정규전환 검토
|
|
일자리 창출 |
•
일자리 으뜸기업 선정
–
2019년, 2020년, 2022년
|
|
기본권 존중 | 구성원 고충해결 |
•
구성원의 고충 해결 및 처리를 위한 체계 수립
–
Culture 팀 고충 접수 및 상담 업무수행 (직장내 괴롭힘, 성희롱 등)
▪
사내 포털 or 메일을 통해 접수받고 있으며, 관련 절차는 사내 포털상 공지
–
고충 처리는 사내 규정(직장 내 성희롱/괴롭힘 예방 및 조치 규정)에 근거하여 진행됨
–
정식조사는 Compliance Dept. 에서 수행하며, 조사 결과 및 심의위원회 결과는 사내이사에 공유
|
구성원 마인드케어 |
•
구성원의 마인드케어
–
직무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, 정신건강, 개인 고민, 중독 등 구성원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심리상담 프로그램
–
전국 280개 센터를 보유하고 있는 전문 기관을 통해 마인드케어 위탁 운영 중
|
|
지역사회 참여 및 개발 | 사회공헌 |
•
CSR 페이지 참고
|
정보보호 및 사이버보안 | 정보 보호 추진 체계 |
•
개인정보보호 교육 실시
–
법정의무 교육으로, 매년 1회 전 임직원을 대상(계약직 포함)으로 실시
–
신규 입사자는 별도의 개인정보보호 교육 실시
|
정보 보호 인증 |
•
ISMS-P인증
–
매년 외부 감사
–
3년마다 인증 갱신
|
|
정보 보호 문화 조성 |
•
정보 보호 관련 캠페인 진행
|
Governance
항목 | 세부항목 | 수행 업무(Activity) |
---|---|---|
기업지배구조 | 기업지배구조 | |
기업 윤리 | 내부고발제도 운영 |
•
열린신고제도 운영
–
사내 포털 및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서 접수 가능
–
Business Assessment Office에서 1차 검토 후 Compliance Team 담당 사안 판단 시 검토 요청
▪
검토 후 징계 필요 건에 대해서 징계 및 재발방지 논의 (HR 협의)
▪
최종 조사 결과 경영진(의장) 보고
|
준법지원 활동 |
•
매년 분야 별 준법통제 점검(Audit) 수행
•
각 Operation에서 발견되는 준법 및 윤리에 대한 통제 활동 수행
•
해당 사항을 토대로 준법통제 현황 반기별(컴플라이언스 보고서) 경영진 보고
|
|
임직원 윤리의식 제고 |
•
윤리강령 전파
•
내부자 거래 행위 방지 등에 대한 준법 교육 실시
|
|
게임관련 윤리 실천 및 전파 |
•
윤리강령 ‘제1장 건강한 게임’
•
내부자 거래 행위 방지 등에 대한 준법 교육 실시
•
타업체와의 협업(Collaboration)시 거래처의 윤리 적정성 등 검토 (Transactions Team)
•
게임 폭력성 방지 캠페인
|
|
뇌물수수 및 부정부패 예방 |
•
뇌물수수 및 부정부패 예방
–
관련 캠페인 진행
▪
추석명절 선물 관련 공지
▪
사내 기본기 캠페인 메일 발송
–
구성원의 관련 문의사항에 대한 검토 및 답변 제공
▪
윤리강령 관련 내용에 대한 문의 (선물, 접대, 불공정거래, 이해상충 행위 등)
▪
사규의 제개정, 해석 등에 관한 문의
▪
임직원 주식매매 사전통보 제도와 같은 각종 Compliance 관련 제도 관련 문의
|